20221006 FL_O Instagram Clone coding Project KPT

2022. 10. 6. 20:41Team Report

    목차

 

1. 한 주의 흐름


1) 한 일



프로젝트 명: Django를 활용한 인스타그램 클론코딩 프로젝트
필수 작업: 로그인, 회원가입, 글 작성, 글 삭제, 게시글 상세페이지, 댓글 작성
추가 작업: 좋아요, 프로필 사진 변경, 개인 프로필 페이지, 좋아요 카운트, 팔로우
2) 느낀점

 

김인해 : 
'익숙해지면 코드가 보이고 경로가 파악되기 시작한다. '
프레임 워크는 드릴이나 망치 같은 Tool 이기 때문에 이해보다는 익숙해지는데 중점을 두라는 강민철 튜터님의 말이 상당히 위로가 되는 시간들이었는데 

'너무 버스만 타지 않았나?'
장고를 내가 아는건가?라는 착각이 시작되려고 할 때 프로젝트 기한이 끝나고 제출을 하였다.
너무 넋놓고 다른사람 하는것만 보고 있던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며 우울해지려고 할 때 버스도 잘 타본 사람이 타는거지라며 나를 위로 했다. 

'메타인지'
내가 모르는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 항상 중요한데 이번에는 정신줄을 너무 놓고 있었기 때문에 이후 프로젝트는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분업하게 됐을 때 내가 맡은 부분들을 모두 핸들링 할 수 있어야 된다고 다짐했다.

'즐거움'
협력 할 때 필연적으로 의견충돌이 발생한다. 그 과정은 서로의 발전과 공통 목표를 이루는 데에 도움이 돼야 한다. 절대 감정 싸움이 되면 안된다.
우리는 협력할 때 의견 차이와 충돌이 있었으나 항상 상충점을 찾았고 감정적인 트러블이 많이 줄어들었다. 필히 누군가 자신의 뜻을 굽히기 때문에 됐을 것이다.
그 누군가에게 매우 감사한다. 불필요한 감정소모가 없으니 협력은 공원에서 하는 농구보다 즐거운 일이 됐다.

 


하경수 :
 첫 프로젝트이고 장고 강의를 듣고 일주일만에 바로 시작한 프로젝트여서 처음 쉬운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워서
 첫날은 어떻게 하지라는 생각에 빠져 이런저런 자료들을 찾아보며 팀원들과 필요한 것들을 찾다 보니 이해되는 것보다 이해는 되지 않지만
 일단 인터넷에 있는것을 가져다 쓴것이 많았다.
 하지만 팀원 모두가 주말과 공휴일 모두 반납하고 프로젝트에 임하면서 하나 둘씩 필수 기능이 완성 되어가면서 태규님의 가르침 하에
 팀원 모두가 코드를 이해하며 함께 인스타 클론 코딩을 완성 할 수 있었다.
 진행중엔 너무 어렵고 이해가 가지 않았지만 완성 했을때 나의 첫 결과물이 꽤 잘 작동하는 모습에 큰 성취감과 
 장고의 기능과 역할, 코딩의 재미를 고루 느낄 수 있었다.
 

이태규 : 장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파이썬에대한 기본 문법들이나 클래스 활용 등 객체활용에 대해 한번 더 개념을 정리할 수 있어서 좋았고, 
장고의 데이터 흐름 뿐아니라 웹 서버 전반에 대한 이해와 기초 개념이 확실히 잡힌것 같아 도움이 많이 되었다. 

천승현 : 
        django프로젝트 전에 불안함이 많이컸는데, 그게 독이된것같아서 아쉬운 프로젝트였다. 더 열심히할 수 있었을것 같은데 
        아는지식이 파이썬쫌 말고는 많이 없다보니 주눅이 좀 많이들었던것 같아서 아쉬웠다.일단 문제점이라하면 django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는데 자신감을 잃지 않았더라면 하는생각이 조금 들기는 했다.그리고 무엇보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팀
        원들한테 배운점이 많다. 팀원들도 나랑 똑같이 이 프로젝트에 대해서 아는지식이 부족했을텐데 겁없이 코딩에 덤비는 모습을 
        보고 많이 반성을 하게 되었다.그래서 용기를 내본게 댓글창을 구현을 해보고 다른팀원들이 작업하고있는 기능들을 같이 도와주면서 
        점차 자신감을 늘려가며 내가 아는부분과 모르는부분을 인터넷에서 공부를 해가면서 팀원들을 도와주기도 했다.그리고 아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혼자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부분이 어렵다는생각이 들었다. 아직은 누군가의 도움을 더 받아야하고 
        혼자서 해결할려고 시도를 할때면 어디서부터 시작을 해야할지 모르는 그런상황이이 종종발생하는것 같아서 기본기를 더 다져
        봐야겠다 라는생각이 드는 프로젝트였고 다음프로젝트 때는 스파르타강의에 있는 내용뿐만 아니고 더 깊이 있게 공부를 해서 
        팀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실력을 갖춰야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던 프로젝트였던 것 같습니다.

 

임동근 : Django를 이용한 첫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강의를 한 번만 들은 것이 후회됐었다.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복습을 좀 더 하고 개념적인 부분들을 많이 알아간 상태였어야 됐는데
        모르는 부분이 많고, 덜 이해한게 많아서 혼자 진행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많았다.
        프로필 페이지를 구현하고 표출하였는데, 혼자서 진행을 했다면,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 거라 생각했다.
        다행히도 이번 프로젝트는 live share를 이용하여, 모르는 부분을 공유하고 같이 진행을 하다보니
        구현하고 표출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프로필 페이지는 구현했으나, 프로필 페이지의 상세 페이지를 구현 못했음에는 나에게는 아쉬움이 많았다.
        KPT 작성 후 한 번 상세페이지를 구현해보는 방향으로 진행하려고 한다.
        팀원들 모두 고생많으셨고, 많은 도움과 협업을 통하여 기본적인 기능 구현을 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 생각한다.


2. Keep

모르는 것을 서로 나누는 점
팀원 모두가 주말과 공휴일을 반납하면서 까지 프로젝트에 몰두한 것 
의견이 부딛힐 때 감정소모하는 것이 아닌 상충점을 모색하는 태도
서로가 부족한 점들이 다소 있으나 너그럽게 이해해주는 태도 
모르는 부분을 직접적으로 알려주기보다는 직접 해보면서 개인의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진행한 것






3. Problem


1) 문제

git hub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 것

기초지식이 아직은 완전히 잡히지 않은점 

DB를 처음에 구상했던 다이어그램을 참조하면서 하지 않았 것

필수 기능의 몇가지가 제대로 작동 되지 않은 것

진행을 하다가 삼천포로 빠짐 그래서 시간 많이 잡아먹었음!

DB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했었음

Backend를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나, frontend에 너무 리소스를 소모했음

외부 코드를 가져와서 사용 할 때,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 한 부분

사용하지 않는 레거시 코드들을 주석 처리만 하고 정리하지 않은 것

해당 문제의 원인을 알고 진행을 해야되는데, 왜 이 문제인지 이해를 못해서인지, 이해하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Readme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았다.

강민철 튜터님 : 개발할때 디버깅용 메세지는 주석처리 하는것이 좋습니다.
             주석은 심플하게 적는 것이 좋습니다.

이창호 튜터님:스태틱 파일 내에 필요없는 것은 정리 하는 것이 졸습니다.
             불필요한 스파게티 코드와 레거시 코드들은 삭제해야 합니다.
             버전은 브랜치로 관리해야 합니다.

2) 원인

경험부족 -> 새로운 workframe Django를 다루는게 익숙하지 않았음,
 backend 개발자들끼리의 협업을 경험해보려는 취지의 프로젝트였지만 backend의 범위에 대한 경험이 없어 정확한 업무 파악이 어려웠고 눈에 보이는 html, css, javascript에 신경을 너무 많이 씀

시간의 빠듯함부터 DB설계를 더 자세하고, 정확하게 상의하면서 설계를 했었어야함

만들어 놓은 와이어 프레임과 DB다이어그램을 참조 하지 않은 것

전체적인 흐름 파악 부족

DataBase에 대한 이해와 Key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어서, db를 끌어오는 방법을 알기까지 오래걸렸음

설계의 미흡함


4. Try


git hub에 대해서 공부하기

git hub 버전 시스템 이용, 백업 및 롤백기능 사용, 다른 팀원도 잘 알아보도록 표시

프로젝트에서 파트 분배를 좀 더 효율적인 방향으로 세세하게 나누는 것

초반에 기획 단계에서 최대한 명확하게 협의하고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것

정기적인 상호 피드백 및 논의 시간을 가지는 것

최종 목표, 중간 목표 등을 설정하는 것

개인별 메인 파트, 서브 파트를 설정하는 것

Django와 CRUD설계에 대해 공부하고 복습하기

Readme.md의 중요성을 한번더 상기하고 신경써서 작성하기

'Team 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31 KPT B-3 KGZ Team  (0) 2022.09.01
B-3조 미니 플젝SA  (0) 20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