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13 TIL

2022. 9. 13. 22:38TIL(Today I Learnd)

    목차

class문은 이해하는 것을 포기했다.

나중에 실전에서 사용할 때 뭔가 보이겠지..?

 

 


실행하고 터미널 클릭하고 짜증났었는데 해결 방법 찾았다.

 

https://velog.io/@ash/VSCode에서-editor-terminal간-커서-이동-단축키-설정하기

 

VSCode에서 editor, terminal간 커서 이동 단축키 설정하기

마우스 의존도 떨어뜨리기 +1

velog.io

 


백준 1110 파이썬

original_num = input() # str으로 인풑 받아와
if len(original_num) == 1: # 받아온 글자가 한자리면
    original_num = "0" + original_num # 0 붙여줘
    
current_num = original_num # 오리지널 넘버는 따로 저장해둬 이따 쓸거야
count = 0 # 몇번 반복됐는지 셀 변수 설정
while True: # while 반복문
    sum_num = int(current_num[0]) + int(current_num[1]) # sum_num에 int로 바꾼 crrent_num 0번째 index랑 1번째 index 두개 더해
    sum_num = str(sum_num) # 그 값을 문자로 다시 바꿔
    current_num = current_num[-1] + sum_num[-1] # 따로 저장한 original_num에 current_num의 맨뒷글자랑 sum_num의 맨뒷글자 이어붙여
    count += 1 # count+ 1 해서 count에 다시 저장해
    if current_num == original_num: # current_num이랑 original_num 똑같으면
        print(count) # count에 저장된 숫자 출력
        break # 반복문 끗

 

백준 10818 파이썬

a = int(input()) # 정수하나 입력받아 굳이 안받아도 되긴 한데 문제에서 받으래
b = list(map(int, input().split())) # 공백으로 나뉘어진 정수 입력받아
print(min(b),max(b)) # 최솟갑, 최댓값 출력해
a = int(input()) # 숫자 하나 받아와
b = list(map(int, input().split())) # 리스트 형태의 숫자도 받아줄거야
mx = b[0] # mx에 b 값 저장해
mn = b[0] # mn에 b 값 저장해


for i in b[1:]: # list b의 1번째 index 부터 반복문 돌릴거야
    if i > mx: # i가 mx 보다 크면
        mx = i # mx에 i 값 저장해
    elif i < mn: # i가 mn 보다 작으면
        mn = i # mn에 i 값 저장해
print(mn, mx, end=" ") # mn과 mx 공백 간격으로 출력해

 

백준 2562 파이썬

num = [] # Declare list variables

for i in range(9): # Repeat to index 9
    num.append(int(input())) # convert the entered data to an int and add it to num_list

mx = max(num) # save the maximum value on the list to mx variables
ind = num.index(mx) # After reviewing the index value that matches M among the indexes of N, save the index order in i.

print(mx) # print mx
print(ind + 1) # The reason why it outputs the value of ind+1 is that the index starts from 0

 

백준 3052 파이썬

l = [] # 리스트형 변수 선언
for i in range(10): # 10번 반복
    n = int(input()) # 정수형태로 입력
    l.append(n % 42) # l에 n을 42로 나눈 나머지 차례대로 입력
l = set(l) # 중복 제거
print(len(l)) # l의 총 길이를 출력

 

백준1546 파이썬

n = int(input()) # 정수형태로 입력 받을게
j = list(map(int, input().split())) # 리스트 인자들 정수로 입력 받을게 공백으로 구분해서
m = max(j) # j에서 가장 큰 값 저장할게

jujack = [] # 주작 점수 담을 리스트 하나 선언
for i in j: # 원래 점수 리스트에 반복문 돌려서
    jujack.append(i/m*100) # 저장되는 주작 점수들 각자 m으로 나누고 100을 곱해서 추가할게

print(sum(jujack)/n) # 주작점수 모두 더하고 n으로 나눠서 출력할게

 

 

 

 

 

 

 

 

 

 

 

'TIL(Today I Lear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915 TIL  (0) 2022.09.15
20220914 TIL  (0) 2022.09.15
20220912 TIL  (0) 2022.09.13
20220909 TIL  (0) 2022.09.12
20220908 TIL  (0) 2022.09.09